
뱅킹으로 선공을 누가할 것인지 결정합니다. 뱅킹에서 이긴 사람이 선택권을 가집니다. 뱅킹은 반드시 헤드스트링 위에 공을 놓고 쳐야합니다.

초구를 치는 사람은 흰공으로 쳐야합니다. 친선게임에서는 노란 공을 1의 위치에 놓았다가 선공인 사람이 초구를 친 후에 노란공 자리에 옮겨 놓은 후 시작합니다.

당구공이 당구대 밖으로 튀어나갔을 경우 공격권이 상대선수로 넘어가고 이때 튀어나간 공을 위 그림의 원칙에 의하여 재배치하고 게임을 진행합니다.
당구레슨용 당구컨텐츠 전문 사이트
당구 4구의 기본적인 경기규칙 설명
쿠드롱은 1년에 공식 경기만 최소 200경기를 소화한다. 이번 만남도 7월 뉴욕과 LA에서 대회를 마치고 고국인 벨기에에 잠시 들렀다 온 것이다. 말그대로 초인적인 일정을 십 수년째 계속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일정을 계속할 수 있는 원천은 무엇일까? 싱겁게도 “당구를 사랑하기 때문”이란다. 그는 정말로 당구를 사랑한다. 자기 삶의 모든 중심은 당구에 맞춰져 있으며 그가 유일하게 하는 취미인 탁구도 당구 체력을 키우기 위한 일환이다. 마지막 탁구 게임도 당구로 너무 바빠 2년 전이 마지막이라고 한다. 또 그는 술, 담배를 전혀 하지 않는다. 그 이유를 물으니 술은 뇌세포를 퇴화시키는 것이고 담배는 테이블 위에 엎드렸을 때 호흡에 방해가 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당구는 머리와 호흡, 팔이 삼위일체가 되는 스포츠이기 때문에 그것에 반하는 어떠한 것도 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앞선 원고에서 쿠드롱은 시스템이 아닌 철저히 ‘感’에 의한 당구를 구사한다고 서술한 바 있다. 그 ‘感’을 유지하는데 방해되는 것은 쿠드롱이 선수로 활동하는 동안 어떤 것도 하지 않을 것이란 느낌이 들었다.
독자들을 위해 당구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훈련 내지는 조언을 요청했다. 내심 뒤돌려치기에서 키스를 피할 수 있는 방법이라던지 멀리 있는 공을 정확히 맞출 수 있는 쿠드롱만의 비법이 나오기를 기대했다. 쿠드롱의 답은 간단했다
‘훈련’, ‘집중’, ‘절제’
서두에 언급한 것처럼 쿠드롱의 1년 공식경기는 200경기가 넘는다. 그야말로 공식경기가 곧 연습일 정도로 연습 시간을 따로 책정하기 힘든 일정이다. 하지만 30분정도 매일 공을 다루기는 한다. 쿠드롱은 절대 장시간 연습하지는 않는다. 긴 연습시간이 실력향상으로 이어지진 않는다는게 쿠드롱의 지론이다. 대신 짧은 시간이지만 집중해 연습을 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집중’은 훈련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다. 그는 시합에서도 ‘집중’을 주문한다. 이는 당구를 업으로 하는 선수들뿐만 아니라 동호인도 마찬가지다. 집중하지 않는 당구는 즐길 자격이 없는 것과 마찬가지다. 단순 팔 운동 밖에 되지 않는 것이다. 당구는 머리와 심장, 팔과 정신이 어울러진 고도의 정신력과 집중이 요하는 운동임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동호인들에게도 ‘절제’를 요구했다. 본인처럼 금연, 금주를 요구한 것이다. 얼핏 들으면 전문 선수가 아닌 동호인들에게까지 금욕을 강조하는건 무리가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뒤이은 설명이 필자의 머리를 때렸다. 그는 당구를 즐기는 것에 선수와 동호인의 선을 긋지 않는다. 오직 ‘당구’를 즐기는 사람만이 있을 뿐이다. 이는 다음 질문의 답과도 연관이 있다. 또 하나… 배우자인 제시카가 귀띔을 해준 쿠드롱의 장점은 ‘머리가 좋다는 것’이다. 실제 생활에서도 비상할 정도로 기억력이 좋은데 이를 당구에 이용한다는게 곁에서 항상 지켜보는 이의 첨언이다. 30분 내외의 짧은 연습시간이 ‘복기’로 활용하고 있음을 추즉할 수 있다.
[쿠드롱이 꼽은 최고의 선수 무랏 나시 초크루, 터키]
분위기를 전환하고자 쿠드롱에게 현재 같이 활동을 하는 선수들 중 좋아하는 선수와 싫어하는 선수을 물어봤다. 가장 좋아하는 선수는 터키의 무랏 나시 초크루(Murat Naci COKLU, 터키)와 에디 먹스(Eddy Merckx, 벨기에)를 꼽았다. 초크루 선수는 국내 팬들에게는 생소할지 모르지만 유럽에서 꽤 인지도가 있는 플레이어이다. 먹스는 세계 최정상권의 선수로 이미 친숙한 이름이다. 이들을 좋아하는 이유도 쿠드롱답게 명쾌했다. 게임 스타일이 ‘공정’하기 때문이다. 이 선수들은 게임에 임할 때 항상 최선을 다하고 최대한의 집중력을 보여준다. 당구를 존중한다는 느낌을 주는 선수를 쿠드롱은 성적과 상관없이 최고의 선수로 뽑았다.
반대로 실명을 거론하지는 않지만 당구를 존중하지 않으면서 성적만을 위해 ‘부정행위(cheating)’를 일삼는 선수들을 싫어한다고 굳은 얼굴로 답했다. 게임 중에 상대에게 신경을 거슬리는 행동을 계속하면서 게임에 지면 기분 나쁨이 확연히 드러내는 선수들은 너무나 거북하다고 속내를 밝혔다. 이는 쿠드롱의 당구 철학과도 연관이 있다. 대화를 이어갈수록 느낀 점은 그가 보여주는 성적 이상으로 당구 자체를 사랑하고 존중한다는 느낌을 받았다. 당구의 매력으로 ‘변화무쌍‘, ’예측불허‘를 꼽으며 그렇기 때문에 계속해서 훈련하고 정진해나간다는 말을 할 때 쿠드롱의 모습은 경지에 오른 ’도인‘과 다르지 않았다. “좋은 패자가 좋은 승자일 수 있다.”란 함축적인 말이 지금의 쿠드롱을 만든 가장 밑바닥의 저력이 아닐까. 앞으로 당구 인생의 목적은 ‘모든 경기의 승리’라고 말하는 쿠드롱에게 오만함이나 과욕을 전혀 느낄 수 없었던 이유도 그가 당구를 대하는 마음을 알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팬들에 대해 웃는 얼굴로 “나에게 너무나 예의바르고 친절하다”란 한마디로 고마움을 표시했다.
출처: 매일경제칼럼 (2014년 8월)
한 스포츠 종목에서 43년간 현역으로 뛰고 있는 데다 현재(2016년 5월) 세계랭킹 1위라면 그 사람은 당구의 토브욘 블롬달(54)뿐일 것이다. 11살이던 1973년 당구를 치기 시작해 23세에 유럽 챔피언에 오른 뒤 블롬달은 3쿠션 세계선수권대회 5회 우승과 유럽선수권대회 개인전과 단체전에서 각각 9회 우승했다. 매년 세계 여러 도시에서 열리는 3쿠션 월드컵에서는 무려 43회나 우승했다.
블롬달은 서울대 출신 당구 천재 고(故) 이상천(1954~2004)과도 각별한 친분을 쌓았고 각종 선수권대회에서 선전하고 있는 현역 한국 선수들과도 ‘형님, 동생’ 할 만큼 가까운 사이다. 스웨덴 출신인 그는 프레드릭 쿠드롱(48·벨기에), 딕 야스퍼스(51·네덜란드), 다니엘 산체스(42·스페인)와 함께 ‘세계 당구 4대 천왕’으로 불리며 각종 선수권대회 성적을 합산해 매기는 세계랭킹에서 현재 1위를 차지하고 있다.
1990년대부터 한국을 찾기 시작해 한국 선수들과 교류해온 그가 최근 한국을 방문했다. 그는 서울과 부산, 충북과 충남의 당구클럽들을 방문해 동호인들과 즉석 경기를 벌이기도 하고 제주 여행을 다녀오기도 했다. 그의 한국 내 매니지먼트를 맡고 있는 회사 ‘코줌코리아’의 충북 청주 사무실에서 블롬달을 만났다. 그는 “한국에 내 기반을 좀 더 마련하고 좋은 후원회사도 발굴하고 싶다”며 “아들들(20세·14세)이 더 크면 현재 살고 있는 독일을 떠나 한국에 살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1년 내내 세계 각국에서 경기를 하니까 집에 있는 시간이 별로 없겠군요.
“보통 연 120~190일가량을 외국에서 보냅니다. 지난 1, 2년간은 매년 200일 훨씬 넘게 외국에서 지낸 것 같아요. 그만큼 대회가 많아서 집에 있을 시간이 없네요.”
11살 때 처음 당구를 쳤다고 들었습니다.
“아버지(레너트 블롬달)가 당구선수였습니다. 3쿠션이 아닌 다른 종목이었죠. 나는 11살 때부터 아버지와 함께 3쿠션을 배웠습니다. 그때쯤 아버지가 당구클럽을 직접 운영하기 시작했죠. 결국 내가 아버지보다 먼저 유럽선수권대회에서 우승(1985년)했고 아버지는 1989년에 우승하셨지요. 아버지와 제가 함께 스웨덴 국가대표로 선수권대회에 나가서 두 번 우승하기도 했고 아버지와 대회 결승전에서 맞붙은 적도 있습니다.”
“스웨덴을 비롯한 유럽 사람들은 공을 갖고 하는 모든 스포츠를 좋아합니다. 나는 탁구와 축구를 좋아하고 스케이트만 잘 탔다면 아이스하키도 했을 거예요. 3쿠션의 매력은 매우 어려운 경기라는 것입니다. 나는 어려운 문제 푸는 것을 좋아해요. 처음에는 어떻게 쳐야 할지 몰라서 한참을 생각해야 한 큐를 칠 수 있었고 그렇게 오랜 시간 당구를 공부해야 했습니다. 18살 때쯤이 돼서야 비로소 이 스포츠를 사랑하게 됐습니다.”
그는 20세 때 프로에 데뷔해 숱한 대회를 제패해 왔다. 당구 애호가들은 그의 플레이를 “화려하지 않지만 정교하고 세밀하며 무엇보다 강한 멘털이 돋보인다”고 말한다. 팬들과 만났을 때 일일이 사인해 주고 스스럼없이 게임을 하는 소탈한 모습도 그의 인기 비결이다.
당구를 스포츠라고 할 수 있습니까?
“당연하지요. 스포츠 중에서도 가장 어려운 스포츠입니다.”
보통 스포츠라고 하면 육체적 능력과 기술이 필요한 것을 뜻하지 않습니까?
“내가 생각하는 스포츠란 누군가와 경쟁하는 모든 경기입니다. 물론 스포츠라는 단어의 사전적 뜻은 그게 아닐지 모르겠지만요. 나는 당구를 43년간 해왔고 지금 세계랭킹 1위입니다. 그런데 아직도 매일 새로운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이렇게 오랜 세월 경기를 해온 결과 세계 1위가 됐고 여전히 배울 것이 있으니까 당구가 가장 어려운 스포츠인 게 맞습니다.”
당구계에서는 당구의 수가 바둑의 수보다도 더 많다고 말한다. 공들이 이전과 똑같이 서는 경우가 없고 큐를 잡는 오른손과 큐를 지지하는 왼손 브릿지의 견고함, 떨리지 않고 정확한 스트로크를 하려면 역도선수 정도의 체력과 균형이 유지돼야 한다고도 한다.
당구를 잘 치려면 눈이 좋아야 하겠지요? 멀리 있는 공을 원하는 두께로 맞히려면요.
“당구는 눈이나 손으로 하는 경기가 아닙니다. (머리를 손가락으로 가리키며)이것으로 하는 것이지요. 경기 계획을 세우고 좋은 포지션 플레이(공을 치기 좋은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것)를 해야 합니다. 눈과 손은 그렇게 내 머릿속에서 생각한 것을 실행해줄 뿐이지요.”
“이것이 내가 가장 사랑하는 경기이며 가장 잘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에요. 쟁쟁한 유럽 선수와 한국 선수들로부터 세계 1위 자리를 지켜야 되기 때문이기도 하지요. 3쿠션은 내 평생의 직업이자 목표입니다. 내가 아는 한, 프로 3쿠션 선수 중에서 은퇴한 사람은 하나도 없습니다. 레이몽 클루망(벨기에 당구선수)을 보세요. 올해 79세인데 여전히 경기에 나옵니다. 나는 지금도 밤새도록 당구 이야기를 해도 전혀 지루하거나 피곤하지 않아요.”그래서 한국에 오자마자 당구장에 가서 팬들과 게임을 했군요?
“그럼요. 그들에게 제가 당구 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또 연습도 되니까요.”팬들과 경기하면 실력 차가 너무 커서 재미가 없을 것 같은데요.
“그 반대예요. 왜냐하면 내가 계속 칠 수 있거든요. 나는 의자에 앉아있는 걸 싫어해요. 경기 후 인터뷰할 때도 꼭 서서 하는데, 당구에서 앉아있다는 것은 상대방이 서서 플레이를 하고 있다는 뜻이거든요. 다시 말해서 내가 지고 있다는 거죠. 하하하.”
“한 번 정도 있었던 것 같아요. 내 공이 당구대 코너 끝에 붙어 있고 바로 앞을 두 공이 막아선 경우가 있었죠. 그 경우도 100% 불가능하다고 할 수는 없죠. 아마 100번, 1000번 시도하면 득점할 방법이 있을 거예요.”‘당구 4대 천왕’이란 호칭은 어떤가요?
“3명은 빼야 하지 않을까요? 나 혼자 천왕이 되고 싶은데요. 하하하. 농담이에요. 사실 마르코 자네티(이탈리아), 에디 먹스(벨기에)도 비슷한 레벨의 선수들입니다. 다만 우리 네 명이 선수권대회 우승을 많이 해서 그런 별명이 붙은 거겠죠.”
블롬달의 최다 하이런(연속 득점) 기록은 1990년대 말 네덜란드에서 열린 경기에서 친 24점이다. 3쿠션을 연속해서 24득점 한다는 것은 축구로 치면 5경기 연속 해트트릭, 야구로 치면 10경기 연속 홈런 정도에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는 이런 기록들을 쌓아 애버리지(이닝당 평균득점) 1.9에 가까운 스코어를 갖고 있다.‘인생 최고의 경기’라고 부를 만한 경기가 있습니까?
“6, 7년 전 에디 먹스와 네덜란드에서 했던 경기가 생각납니다. 50점을 먼저 내는 경기 방식이었는데 내가 47대 15로 끌려가고 있었어요. 그것을 결국 50대50 무승부로 끝냈습니다.”당구는 특히 정신력이 중요한 게임이라고 하는데요.
“나는 실수를 하거나 설령 경기에 진다 해도 신경 쓰지 않습니다. 다음 샷, 다음 경기를 더욱 정교하게 치고 또 좋은 포지션을 만들려고 노력해요. 그러면 다음번엔 좋아질 것이고 정신력도 되돌아올 것입니다. 나는 어떤 종류의 성적도 기록하지 않아요. 내 인생은 오늘과 내일뿐입니다. 어제는 이미 내 인생이 아니에요. 나는 오늘과 내일 더 나아지고 싶습니다.”
“수많은 시간을 쌓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좋은 3쿠션 선수는 오랜 경험 없이 탄생하지 않습니다. 적어도 10년 이상은 당구대에서 시간을 보내야 해요. 그 경험이 쌓여서 실력으로 발휘되는 것이 3쿠션 경기입니다.”
“절대 포기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그리고 항상 새로운 것을 배워야 한다는 것, 그래야만 조금씩 더 나아질 수 있다는 것을 배웠어요. 쉬지 않고 나를 개선해 나가야 합니다. 당구도 그렇지만 인생도 정말 그래요.”
출처: 매국언론 조선일보 2016년 5월 21일 기사 중에서
△최근 90일동안 빌리보드 디지털스코어보드가 설치된 전국 1,056개 클럽에서 △10경기 이상 경기를 치른 △핸디 10~40점 동호인 기록이다. (권장 애버리지는 2020년 5월 전자점수판 3사의 통계 평균임)
핸디 | 동호인수 | 게임수 | 애버리지 | 권장 |
40 | 34 | 3572 | 1.360 | 1.388 |
35 | 125 | 10149 | 1.078 | 1.159 |
33 | 28 | 2731 | 1.003 | |
32 | 185 | 16344 | 0.935 | 0.997 |
30 | 689 | 55996 | 0.829 | 0.869 |
28 | 687 | 62795 | 0.738 | 0.776 |
27 | 1154 | 96491 | 0.682 | 0.710 |
26 | 816 | 72812 | 0.638 | 0.659 |
25 | 2030 | 156696 | 0.589 | 0.605 |
24 | 1530 | 120480 | 0.545 | 0.561 |
23 | 2040 | 151193 | 0.505 | 0.520 |
22 | 1925 | 132891 | 0.468 | 0.485 |
21 | 1643 | 109043 | 0.433 | 0.451 |
20 | 2180 | 121901 | 0.398 | 0.411 |
19 | 811 | 45660 | 0.363 | 0.386 |
18 | 1182 | 53395 | 0.341 | 0.357 |
17 | 641 | 28346 | 0.312 | 0.328 |
16 | 499 | 20577 | 0.293 | |
15 | 495 | 17125 | 0.270 | |
14 | 126 | 4067 | 0.250 | |
13 | 119 | 3569 | 0.234 | |
12 | 100 | 3290 | 0.221 | |
11 | 23 | 853 | 0.188 | |
10 | 55 | 1129 | 0.184 | |
합계 | 19117 | 1291105 |
아래 그림은 4구 점수별 대대 예상 점수인데, 현실에서 만나는 사람들은 이보다 조금 더 낮은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4구를 500점 치는 사람이라도 대대에서 쓰리쿠션을 25점 치기는 쉽지않다. 4구 300은 대대 16~20점, 4구 500은 대대 22~25점 정도인 것 같다.
4구 점수 | 3쿠션 점수 |
500점 | 25점 이상 |
400점 | 21~23점 |
300점 | 19~20점 |
250점 | 17~18점 |
200점 | 15~16점 |
150점 | 13~14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