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린야구왕의 인공지능 당구 시스템인 ‘빌리내비’를 임대해 사용했던 한 소상공인이 자신을 “리스 사기의 피해자”라고 소개, 억울함을 호소하고 나서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사건의 전말은 이렇다. 경기도 양주시에서 당구장을 운영하는 A씨는 ‘스크린야구왕’ 소속 영업이사의 추천으로 자신의 당구장에 ‘빌리내비’ 설치를 했다. A씨의 주장에 따르면 당시 스크린야구왕 소속 직원은 “두 달간 무료사용을 할 수 있으며 이후 사용의사가 없을 시 일체의 반환비용, 철거비용이 들지 않고 철거가 가능하다”며 설치를 권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당시 스크린야구왕의 직원은 A씨에게 CNH캐피탈 48개월 리스 계약서에 사인을 하도록 했고 A씨는 두 달 무료사용에 철거비도 들지 않으니 문제가 될 것이 없다고 판단해 계약확인서, 리스 계약서 등에 사인을 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한데 A씨의 주장에 따르면 이로부터 1개월도 채 지나지 않아 스크린야구왕의 빌리내비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해 정상적인 프로그램 운영이 되지 않았고 이에 A씨는 스크린야구왕에 철거를 위해 연락을 했으나 “회사의 재정이 좋지 않아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을 것”이라는 답변만 받을 수 있게 됐다.
이에 따라 A씨는 리스 계약을 했던 CNH캐피탈에 문의를 했다. 하지만 CNH캐피탈은 물건에 관한 책임은 스크린야구왕에 있고, 무상철거 및 무료사용 기간도 모른다며 매달 수십만 원에 달하는 리스료를 그대로 지불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이에 따라 A씨는 “장비가 정상적인 운영이 되지 않는다면 당연히 리스료는 내지 않아도 될 줄 알았다”며 “CNH캐피탈은 리스료를 납부하지 않으면 신용등급을 하락시키고 손해배상을 청구하겠다고 내용증명을 보내고 있다”고 억울함을 호소했다.
또한 “리스 계약을 한지 채 한 달도 되지 않아 장비를 쓰지 못하게 됐는데 CNH캐피탈은 어떻게 스크린야구왕과 납품계약서를 맺고 리스계약을 했는지 의문이다”며 “이에 따라 본인은 소상공인 대출까지 막히는 상황이 됐다, 천만 원이 넘는 기계가 작동도 하지 않는데 돈을 내라는 것은 어느 나라 법인지 답답하다”고 토로했다.
더불어 A씨는 지난 20일 청와대 국민청원을 통해서도 억울함을 표하고 있다.
실제 A씨는 청원글을 통해 “CNH캐피탈이 스크린야구왕과 상품성이 없는 제품에 대해 어떻게 납품계약을 하고 2개월의 짧은 시간에 시장에서 검증도 되지 않은 제품을 판매하면서 저지른 불법 행위를 조사해 달라”며 “상품가치도 없는 제품으로 리스상품을 만들어 소상공인의 피와 땀을 착취하는 CNH캐피탈의 스크린야구왕과의 계약을 조사해 달라”고 덧붙였다.
해당 청원글은 21일 오전 10시 30분 기준, 627명의 동의를 받고 있다.
이와 관련해 본지는 스크린야구왕 공식 홈페이지에 명시된 번호로 연락을 취했으나 결국 닿지 않았으며 CNH캐피탈 측 관계자는 “일례로 백화점에서 물건을 산 뒤 물건이 고장 나면 제조사에 하자 보수를 요청해야 하지 카드사에 요청하지는 않지 않느냐”며 “당구장 사장님들의 입장은 십분 이해하지만 당사는 금융회사기 때문에 책임은 제조사에 있다고 본다”고 해명했다.
이어 “스크린야구왕의 폐점으로 당사도 큰 피해를 입고 있다”며 “당사도 굉장히 답답한 입장이다”고 덧붙였다.
한 스포츠 종목에서 43년간 현역으로 뛰고 있는 데다 현재(2016년 5월) 세계랭킹 1위라면 그 사람은 당구의 토브욘 블롬달(54)뿐일 것이다. 11살이던 1973년 당구를 치기 시작해 23세에 유럽 챔피언에 오른 뒤 블롬달은 3쿠션 세계선수권대회 5회 우승과 유럽선수권대회 개인전과 단체전에서 각각 9회 우승했다. 매년 세계 여러 도시에서 열리는 3쿠션 월드컵에서는 무려 43회나 우승했다.
블롬달은 서울대 출신 당구 천재 고(故) 이상천(1954~2004)과도 각별한 친분을 쌓았고 각종 선수권대회에서 선전하고 있는 현역 한국 선수들과도 ‘형님, 동생’ 할 만큼 가까운 사이다. 스웨덴 출신인 그는 프레드릭 쿠드롱(48·벨기에), 딕 야스퍼스(51·네덜란드), 다니엘 산체스(42·스페인)와 함께 ‘세계 당구 4대 천왕’으로 불리며 각종 선수권대회 성적을 합산해 매기는 세계랭킹에서 현재 1위를 차지하고 있다.
1990년대부터 한국을 찾기 시작해 한국 선수들과 교류해온 그가 최근 한국을 방문했다. 그는 서울과 부산, 충북과 충남의 당구클럽들을 방문해 동호인들과 즉석 경기를 벌이기도 하고 제주 여행을 다녀오기도 했다. 그의 한국 내 매니지먼트를 맡고 있는 회사 ‘코줌코리아’의 충북 청주 사무실에서 블롬달을 만났다. 그는 “한국에 내 기반을 좀 더 마련하고 좋은 후원회사도 발굴하고 싶다”며 “아들들(20세·14세)이 더 크면 현재 살고 있는 독일을 떠나 한국에 살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1년 내내 세계 각국에서 경기를 하니까 집에 있는 시간이 별로 없겠군요.
“보통 연 120~190일가량을 외국에서 보냅니다. 지난 1, 2년간은 매년 200일 훨씬 넘게 외국에서 지낸 것 같아요. 그만큼 대회가 많아서 집에 있을 시간이 없네요.”
11살 때 처음 당구를 쳤다고 들었습니다.
“아버지(레너트 블롬달)가 당구선수였습니다. 3쿠션이 아닌 다른 종목이었죠. 나는 11살 때부터 아버지와 함께 3쿠션을 배웠습니다. 그때쯤 아버지가 당구클럽을 직접 운영하기 시작했죠. 결국 내가 아버지보다 먼저 유럽선수권대회에서 우승(1985년)했고 아버지는 1989년에 우승하셨지요. 아버지와 제가 함께 스웨덴 국가대표로 선수권대회에 나가서 두 번 우승하기도 했고 아버지와 대회 결승전에서 맞붙은 적도 있습니다.”
3쿠션의 어떤 점이 매력인가?
“스웨덴을 비롯한 유럽 사람들은 공을 갖고 하는 모든 스포츠를 좋아합니다. 나는 탁구와 축구를 좋아하고 스케이트만 잘 탔다면 아이스하키도 했을 거예요. 3쿠션의 매력은 매우 어려운 경기라는 것입니다. 나는 어려운 문제 푸는 것을 좋아해요. 처음에는 어떻게 쳐야 할지 몰라서 한참을 생각해야 한 큐를 칠 수 있었고 그렇게 오랜 시간 당구를 공부해야 했습니다. 18살 때쯤이 돼서야 비로소 이 스포츠를 사랑하게 됐습니다.”
그는 20세 때 프로에 데뷔해 숱한 대회를 제패해 왔다. 당구 애호가들은 그의 플레이를 “화려하지 않지만 정교하고 세밀하며 무엇보다 강한 멘털이 돋보인다”고 말한다. 팬들과 만났을 때 일일이 사인해 주고 스스럼없이 게임을 하는 소탈한 모습도 그의 인기 비결이다.
당구를 스포츠라고 할 수 있습니까?
“당연하지요. 스포츠 중에서도 가장 어려운 스포츠입니다.”
보통 스포츠라고 하면 육체적 능력과 기술이 필요한 것을 뜻하지 않습니까?
“내가 생각하는 스포츠란 누군가와 경쟁하는 모든 경기입니다. 물론 스포츠라는 단어의 사전적 뜻은 그게 아닐지 모르겠지만요. 나는 당구를 43년간 해왔고 지금 세계랭킹 1위입니다. 그런데 아직도 매일 새로운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이렇게 오랜 세월 경기를 해온 결과 세계 1위가 됐고 여전히 배울 것이 있으니까 당구가 가장 어려운 스포츠인 게 맞습니다.”
당구계에서는 당구의 수가 바둑의 수보다도 더 많다고 말한다. 공들이 이전과 똑같이 서는 경우가 없고 큐를 잡는 오른손과 큐를 지지하는 왼손 브릿지의 견고함, 떨리지 않고 정확한 스트로크를 하려면 역도선수 정도의 체력과 균형이 유지돼야 한다고도 한다.
“당구는 가장 어려운 스포츠”
당구를 잘 치려면 눈이 좋아야 하겠지요? 멀리 있는 공을 원하는 두께로 맞히려면요.
“당구는 눈이나 손으로 하는 경기가 아닙니다. (머리를 손가락으로 가리키며)이것으로 하는 것이지요. 경기 계획을 세우고 좋은 포지션 플레이(공을 치기 좋은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것)를 해야 합니다. 눈과 손은 그렇게 내 머릿속에서 생각한 것을 실행해줄 뿐이지요.”
당구 경기 중에서도 3쿠션만 하는 이유가 있습니까?
“이것이 내가 가장 사랑하는 경기이며 가장 잘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에요. 쟁쟁한 유럽 선수와 한국 선수들로부터 세계 1위 자리를 지켜야 되기 때문이기도 하지요. 3쿠션은 내 평생의 직업이자 목표입니다. 내가 아는 한, 프로 3쿠션 선수 중에서 은퇴한 사람은 하나도 없습니다. 레이몽 클루망(벨기에 당구선수)을 보세요. 올해 79세인데 여전히 경기에 나옵니다. 나는 지금도 밤새도록 당구 이야기를 해도 전혀 지루하거나 피곤하지 않아요.”그래서 한국에 오자마자 당구장에 가서 팬들과 게임을 했군요?
“그럼요. 그들에게 제가 당구 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지만 또 연습도 되니까요.”팬들과 경기하면 실력 차가 너무 커서 재미가 없을 것 같은데요.
“그 반대예요. 왜냐하면 내가 계속 칠 수 있거든요. 나는 의자에 앉아있는 걸 싫어해요. 경기 후 인터뷰할 때도 꼭 서서 하는데, 당구에서 앉아있다는 것은 상대방이 서서 플레이를 하고 있다는 뜻이거든요. 다시 말해서 내가 지고 있다는 거죠. 하하하.”
절대로 득점할 수 없는 공을 실전에서 만난 적이 있습니까?
“한 번 정도 있었던 것 같아요. 내 공이 당구대 코너 끝에 붙어 있고 바로 앞을 두 공이 막아선 경우가 있었죠. 그 경우도 100% 불가능하다고 할 수는 없죠. 아마 100번, 1000번 시도하면 득점할 방법이 있을 거예요.”‘당구 4대 천왕’이란 호칭은 어떤가요?
“3명은 빼야 하지 않을까요? 나 혼자 천왕이 되고 싶은데요. 하하하. 농담이에요. 사실 마르코 자네티(이탈리아), 에디 먹스(벨기에)도 비슷한 레벨의 선수들입니다. 다만 우리 네 명이 선수권대회 우승을 많이 해서 그런 별명이 붙은 거겠죠.”
100% 칠 수 없는 공이란 없다
블롬달의 최다 하이런(연속 득점) 기록은 1990년대 말 네덜란드에서 열린 경기에서 친 24점이다. 3쿠션을 연속해서 24득점 한다는 것은 축구로 치면 5경기 연속 해트트릭, 야구로 치면 10경기 연속 홈런 정도에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는 이런 기록들을 쌓아 애버리지(이닝당 평균득점) 1.9에 가까운 스코어를 갖고 있다.‘인생 최고의 경기’라고 부를 만한 경기가 있습니까?
“6, 7년 전 에디 먹스와 네덜란드에서 했던 경기가 생각납니다. 50점을 먼저 내는 경기 방식이었는데 내가 47대 15로 끌려가고 있었어요. 그것을 결국 50대50 무승부로 끝냈습니다.”당구는 특히 정신력이 중요한 게임이라고 하는데요.
“나는 실수를 하거나 설령 경기에 진다 해도 신경 쓰지 않습니다. 다음 샷, 다음 경기를 더욱 정교하게 치고 또 좋은 포지션을 만들려고 노력해요. 그러면 다음번엔 좋아질 것이고 정신력도 되돌아올 것입니다. 나는 어떤 종류의 성적도 기록하지 않아요. 내 인생은 오늘과 내일뿐입니다. 어제는 이미 내 인생이 아니에요. 나는 오늘과 내일 더 나아지고 싶습니다.”
3쿠션 초보자에게 일러줄 만한 충고가 있습니까?
“수많은 시간을 쌓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좋은 3쿠션 선수는 오랜 경험 없이 탄생하지 않습니다. 적어도 10년 이상은 당구대에서 시간을 보내야 해요. 그 경험이 쌓여서 실력으로 발휘되는 것이 3쿠션 경기입니다.”
당구를 40년 넘게 해 오면서 무엇을 배웠습니까?
“절대 포기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그리고 항상 새로운 것을 배워야 한다는 것, 그래야만 조금씩 더 나아질 수 있다는 것을 배웠어요. 쉬지 않고 나를 개선해 나가야 합니다. 당구도 그렇지만 인생도 정말 그래요.”
△최근 90일동안 빌리보드 디지털스코어보드가 설치된 전국 1,056개 클럽에서 △10경기 이상 경기를 치른 △핸디 10~40점 동호인 기록이다. (권장 애버리지는 2020년 5월 전자점수판 3사의 통계 평균임)
핸디
동호인수
게임수
애버리지
권장
40
34
3572
1.360
1.388
35
125
10149
1.078
1.159
33
28
2731
1.003
32
185
16344
0.935
0.997
30
689
55996
0.829
0.869
28
687
62795
0.738
0.776
27
1154
96491
0.682
0.710
26
816
72812
0.638
0.659
25
2030
156696
0.589
0.605
24
1530
120480
0.545
0.561
23
2040
151193
0.505
0.520
22
1925
132891
0.468
0.485
21
1643
109043
0.433
0.451
20
2180
121901
0.398
0.411
19
811
45660
0.363
0.386
18
1182
53395
0.341
0.357
17
641
28346
0.312
0.328
16
499
20577
0.293
15
495
17125
0.270
14
126
4067
0.250
13
119
3569
0.234
12
100
3290
0.221
11
23
853
0.188
10
55
1129
0.184
합계
19117
1291105
당구 동호인 대대 쓰리쿠션 평균 애버리지
당구 수지(4구 기준) 3쿠션 핸디 점수
아래 그림은 4구 점수별 대대 예상 점수인데, 현실에서 만나는 사람들은 이보다 조금 더 낮은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4구를 500점 치는 사람이라도 대대에서 쓰리쿠션을 25점 치기는 쉽지않다. 4구 300은 대대 16~20점, 4구 500은 대대 22~25점 정도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