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쿠션으로 득점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그러나 뱅크샷을 제외한 모든 3쿠션 해법은 결국 큐볼로 1목적구를 치고 나가는 방법입니다. 여기서 큐볼로 공을 치고 나가는 방법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습니다.
- 첫번째는 무회전으로 치는 방법 (세워치기),
- 두번째는 큐볼의 회전방향과 같은 1목적구의 면을 치고 나가는 방법 (순회전: 옆돌리기, 앞돌리기),
- 세번째는 큐볼의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1목적구의 면을 치고 나가는 방법 (역회전: 빗겨치기, 뒤돌리기)
이렇게 3가지 방법으로 나눌수 있는 것입니다. 큐볼에 회전을 주지 않고 1목적구의 원하는 부분을 맞히는 방법은 큐로 겨냥하는 지점과 목표점이 같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매우 간단합니다. 그러나 큐볼에 회전을 주고 1목적구의 원하는 두께를 맞히기는 어렵습니다. 스쿼트와 커브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 부분에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3쿠션 기술을 다시 두가지 (순회전, 역회전)로 나눌 수 있는것입니다.
무회전 (No english)
무회전은 두께가 정직하다 (It’s easy to hit the desired thickness, No english)
세워치기는 무회전으로 치는 대표적인 3쿠션 기술 중 하나입니다. 물론 옆돌리기나 빗겨치기를 무회전으로 치는 경우도 있지만, 세워치기 배치의 특성상 세로로 길쭉하게 쳐야하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회전을 사용하면 안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큐볼에 회전을 가하지 않고 치는 경우에는 스쿼트나 커브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자신이 맞히고자 하는 1목적구의 두께를 맞히기가 쉽습니다. 굳이 이론을 모르더라도 연습만 하면 잘 맞힐 수 있기 때문입니다.
스쿼트와 커브를 고려해야하는 3쿠션 (Solutions to consider squirt and curves)
이제부터 설명하는 3쿠션 해법들은 큐볼에 회전을 준다는 전제하에서 시작하겠습니다. 큐볼에 회전을 주는 순간 스쿼트와 커브가 일어날 것을 예상해야 하는데 스쿼트와 커브가 일어나는 정도는 큐의 각도, 회전량, 속도, 거리에따라서 다르고 당구공의 배치는 경우의 수가 많아서 모든 상황을 연습하기는 어렵습니다. 때문에 원리와 개념을 잘 이해하고 효율적인 배치를 가지고 당구연습을 시작해야 빨리 성장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순회전 기술(Natural english solutions)과 역회전 기술(Reverse english solutions)에 대해서 설명을 할 것입니다. 가장 큰 차이점은 1목적구의 원하는 두께를 맞히기 위한 두께 겨냥법이 전혀 다르다는 것입니다. 큐볼에 회전을 줌으로써 일어나는 스쿼트와 커브현상때문에 1목적구의 두께를 겨냥할 때 이것을 고려해서 겨냥해야하지만, 순회전기술과 역회전기술은 정 반대인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것을 인지하고 두께를 겨냥해야합니다.
순회전(Natural english)
당구를 처음 치는 사람일수록 큐볼을 부드럽게 치기 어렵습니다. 큐는 길지만 무게는 520g 정도인데 반해서 당구공은 작지만 210g 정도입니다. 즉 큐의 무게에 비해서 공의 무게가 무거운 것입니다. 결국 공의 무게를 감당하기 위해서는 세게 때려치게 되는 것이 자연스러운 행동입니다. 그런데 큐볼에 회전을 주고 빠른 속도로 치면 칠수록 발생하는 스쿼트의 양은 커지기 때문에 옆돌리기(Side angle shot)나 앞돌리기 (Long angle shot) 상황에서 1목적구의 두께가 두껍게 맞으면서 실패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실패입니다.
이와는 반대로 큐볼이 쿠션에 가까이 붙어 있을 때 자연스럽게 큐의 뒤가 올라가 큐에 각도가 생기는데, 이런 상태에서 멀리 있는 1목적구를 쳐서 옆돌리기나 앞돌리기를 치려고 하다가 너무 얇게 맞거나 아예 맞히기 못해서 실패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것은 스쿼트가 아니라 커브가 발생했기 때문에 일어안 실패이며 이 또한 자연스러운 결과입니다.
역회전 (Reverse english)
빗겨치기와 뒤돌리기는 큐볼에 회전을 준 1목적구의 반대면을 맞힌다는 공통점이 있으므로 같은 기술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두께를 맞힐 때 일어나는 실수 또한 의도한 것보다 얇게 맞으면서 실패하는 경우가 많을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실수는 역회전으로 1목적구를 치는 경우에 일어날 수 있는 자연스러운 결과입니다.
그밖의 여러 기술 (Other solutions)
옆돌리기(Side angle shot)라고 해서 반드시 제회전(Natural english)으로 치는 것도 아니고 뒤돌리기(Outside angle shot)라고해서 반드시 역회전(Reverse english)으로 쳐야하는 것도 아닙니다. 특히 위에 있는 여러가지 다른 기술 들에 있어서는 제회전으로 치는 경우와 역회전으로 치는 경우가 하나의 기술 안에 공존합니다.
결론 (Key point)
스쿼트와 커브가 일어나는 조건을 알고 두께를 맞힌다 (You need to know the conditions in which squirt and curve occur)
앞서 말했듯이 큐의 각도, 회전량, 큐스피드, 1목적구와의 거리에 따라서 스쿼트가 일어날 수도 있고 커브가 일어날 수도 있으며 각각 발생하는 정도도 다릅니다. 그러나 이번 페이지에서 무회전, 순회전, 역회전으로 분류한 것처럼 각 해법의 근본적인 구조를 알고 스쿼트와 커브가 일어나는 조건에 근거하여 두께를 겨냥하고 맞힌다면 큰 실수없이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큐볼을 진행 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
회사에서 과장님이 3구를 좋아해서 배워볼까하고 검색하다 들어왔습니다. 초보자가 알기 쉽게 정리가 정말 잘 돼 있네요… 혹시 레슨도 하시나요?
레슨을 하기는 하는데 요즘은 코로나 때문에 새로 회원을 받지는 않고 있습니다. 회원전용레슨페이지를 이용해 주시기 바라고요 당구박사 유튜브 채널과 홈페이지 회원분들을 위해서 이벤트성으로 당구레슨겸 오프라인 모임을 계획해 보려고 예전부터 생각했었는데 거리두기 2.5단계인 집합금지명령때문에 당구장에 갈 수가 없어서 못하고 있었습니다. 나중에 계획되면 공지할테니 참가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