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쿠션 볼시스템을 이용한 득점

2-1a

1쿠션 2-1a 힌트
쿠션 이용하기 2-1a (힌트)
1쿠션 2-1a 힌트
쿠션 이용하기 2-1a (힌트2)
쿠션 이용하기 2-1a2 (힌트)
쿠션 이용하기 2-1a2 (힌트2)

무회전으로 쳤을 경우 입사각과 반사각이 같다는 이론으로 1쿠션 지점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1목적구인 빨간 공쪽으로 와서 큐를 이용하여 1쿠션 지점을 가늠해 보는 연습을 해 보세요.

배치도
배치도 X
배치도
배치도 X

2-1b

1쿠션 2-1b 힌트
2-1b (힌트)

2-1a와 비교했을 때 내 공의 위치가 1목적구인 빨간 공보다 아래쪽으로 내려와 있습니다. 이런 경우 1/2두께에 가깝거나 그보다 더 두껍게 쳤을 때 부드럽게 치면 내공이 휘어들어가면서 예상밖의 진행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것을 감안하여 옆회전을 사용하고 두께를 너무 두껍게 치지 않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배치도
배치도 X

2-1c

1쿠션 2-1b 힌트
2-1c (힌트)
1쿠션 2-1b 힌트
2-1c (힌트)

내공과 1적구인 빨간공의 기울기가 첫번째 쿠션에 대하여 90도이므로 내공과 1적구의 기울기는 0입니다. 첫번째 빨간공과 2번째 빨간공의 기울기는 4칸 기울기입니다. 이것을 1목적구의 두께를 8등분하여 계산하는 볼시스템적으로 생각하면 무회전에 두께 4/8 즉 1/2두께를 치면 득점이 된다는 계산이됩니다.

배치도
배치도 X

2-1d

1쿠션 2-1d 힌트
2-1d (힌트)

2-1c와 비슷하지만 내공의 위치와 두번째 목적구인 빨간공의 위치가 바뀌었습니다. 내공과 1목적구의 기울기가 1칸, 빨간 공 끼리의 기울기가 5칸 이므로 볼시스템으로 생각하면 두께와 회전을 6의 조합으로 치면 득점이 된다는 계산이나 내 공이 1목적굽다 아래에 있으므로 너무 부드럽게 치면 밀려서 미세한 차이로 실패할 수 있으므로, 계산된 분리각대로 분리가 일어나도록 약간 빠른 속도로 치는 것이 좋겠습니다.

배치도
배치도 X

연습 더

답글 남기기